티스토리 뷰
영화 스토리 간략 소개
성실한 택배기사 건우(강동원). 그는 유명 여자 아이돌(김유정)을 강도로부터 구하면서 세간에 영웅 시민으로 알려진 인물. 그러던 어느날 고교시절 친구 무열(윤계상)이 건우에게 찾아오는데, 하지만 반갑게 맞이하는 건우와는 다르게 심각한 표정의 무열. 아니나 다를까 정부 조직에서 일하는 무열은 세상 착한 건우에게 다짜고짜 대통령 후보자를 테러했다는 누명을 씌우고 사라졌으니, 거대 권력의 음모에 빠진 힘없는 소시민의 도주극이 시작된다.
감상 포인트 - 일본판과 비교
이사카 코타로의 동명 소설이 원작. 2010년에 '사카이 마사토' 주연으로 영화가 제작됐다. (사카이 마사토는 리갈 하이, 한자와 나오키 등으로 국내에서도 유명.) 일본판(2010년작)의 경우 주인공은 거대 권력의 음모에 빠졌지만, 그 이유를 묻지도 파헤치지도 않는다. 그저 생존만을 생각한다. 일반적인 스릴러와는 다른 행보다.
거대 권력의 비중을 축소하고 친구들의 도움으로 생존에 성공하는 주인공에게 집중하므로써 스릴러를 휴머니즘으로 풀고 색다른 도주극을 완성시킨다. 이로써 "사람의 가장 큰 무기는 믿음"이라는 주제를 전하고 소시민이 취할 수 있는 작은 승리감을 준다. 실상 극중 거대 권력의 음모란 그 의미를 '뜻대로 되지 않는 세상' 혹은 '불가항력' 정도로 해석해도 문제가 없다.
한국판이 같은 경로를 갔을지, 아니면 판을 키웠을지 궁금하다. 만약 판을 키웠다면 유치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OST의 의미
제목인 골든 슬럼버는 비틀즈의 곡명이다. 원작 소설가 '이사카 코타로'는 이 곡을 "비틀즈 멤버들이 다시 뭉치기를 바랬던 '폴 매카트니'의 염원이 담긴 곡"이라 해석했다. 일본판 영화에서도 Golden Slumber는 작품 전체를 관통하며 믿음, 신뢰, 우정이라는 주제를 표현한다.
그러나 한국판의 경우 한국적 정서를 생각했던지, 비틀즈의 '골든 슬럼버'와 함께 신해철의 '그대에게' 등도 추가한 것으로 보인다. 당장 "으쌰라 으쌰"부터 떠오르는 '그대에게'를 마찬가지로 우정, 신뢰, 믿음의 코드로 표현하지는 않았을 것 같고, 어떻게 녹여냈을지에 따라 공감을 살 수도 반감을 살 수도 있을 것 같다.
캐릭터 차이
원작의 주인공과 친구들은 학창시절 패스트 푸드점을 평가하는, 하등 쓸모없어 보이는 '청소년식문화연구회' 써클 멤버였을 정도로 순진한 '아싸'들이었다. 하지만 한국판에선 밴드 부원이라는 '인싸'로 수정됐다.
또 무열(윤계상)은 원작에선 사실 초반에 죽는 캐릭터다. 그 역시 소시민으로서 주인공처럼 함정에 빠졌지만 맞서기를 포기하는 선택을 하므로써 주인공과 강렬한 대비를 이룬다. 하지만 한국판에서 무열은 신분부터 상승한 모습이다.
건우(강동원)의 도주를 돕는 민 씨(김의성)는 전 국정원 출신이다. 한때 거대 권력의 일부였던 자가 조력자라는 설정으로 원작에는 없는 캐릭터. 원작의 주인공이 친구들과 동료의 도움이 컸던 것과는 다르다. 그렇다면 원작과 어떻게 다른 궤도를 보여줄지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일 듯하다.
2018년 2월 14일 개봉.